반응형
2019년 전세계 금(Gold) 생산량은 전년(2018년) 대비 1.3% 감소했다.
재활용을 포함한 전체 공급량은 1.8% 증가했으나, 재활용금은 지속적으로 공급 가능한 원천은 아니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
오래전부터 금은 곧 고갈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왜냐면 경제성을 가지고 채굴할 수 있는 금은 이미 대부분 발견했고, 또 인류의 오랜 역사동안 대부분 채굴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러한 Peak Gold(금 생산이 피크치고 이후로는 계속 감소한다는 견해) 예측이 무색하게 전세계 금 생산량은 2018년까지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런데 드디어 2019년 부터 수치로도 금 생산량의 감소가 확인되기 시작했다.
대체로 매년 3% 이상 증가하던 금 생산량은 2017~2018년 1%대로 하락한 이후 2019년은 1.3% 감소한 것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향후 10년간 금 생산량이 절반까지 감소할 것이라는 견해도 많다.
2020년 Data 도 계속 살펴봐야 하겠지만, 이와 같이 금 생산량이 계속 감소한다면 금의 가격은 지금의 팔라듐 못지 않게(아니 그 이상으로) 크게 상승할 것이 분명하다.
반응형
'금, 은 및 원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시세 전망 (국제 은가격의 금융위기시 변화, 금은비). (0) | 2020.03.14 |
---|---|
금시세 전망 (경제위기시 국제 금가격, 금시세 추이). (0) | 2020.03.13 |
은(Silver) 투자, 그리고 KODEX 은선물 투자 (0) | 2020.03.03 |
퇴직연금계좌 활용한 금 투자. (0) | 2020.02.27 |
금투자 이유 및 방법 (금 수요 및 공급 분석).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