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을 통해 ROE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ROE란?
ROE 는 Return on Equity 의 약자로서 자기자본이익률 이라고 합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는 자기자본대비 당기순이익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구합니다.
자기자본은 해당 회사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남은 부분 즉 순수하게 주주들 몫이되는 자산을 말합니다.
회사 총자산이 아무리 크더라도 부채가 많다면 주주몫인 자기자본은 작을 수 있습니다.
이제 자기자본을 알았으니, ROE (자기자본이익률) 은 금방 구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당기순이익이 100억원인데 자기자본이 1,000억원이라면 ROE 는 10% 입니다.
2. ROE는 왜 중요할까요?
ROE 가 높다는 것은 순수한 주주몫인 자기자본이 그 만큼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주주에게 높은 수익을 돌려주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기업의 당기순이익이 10% 증가하였다 하더라도 만일 유상증자등으로 자기자본이 10% 이상 증가하였다면 ROE 는 감소하게됩니다.
자기자본이 늘어났지만 이전보다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ROE 는 특히 버크셔해서웨이의 전설적인 투자자 워렌버펫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지표로 유명합니다.
장기간 높은 ROE 를 유지한 기업이라면 주주에게 받은 투자금을 장기간 높은수준의 복리로 불려서 주주에게 되돌려 준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 수익성 지표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3. ROE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럼 ROE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올해 자기자본이 100억이고, 당기순이익이 10억인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는 10억 / 100억 = 10% 입니다.
그런데 내년에 이 기업이 올해와 똑같이 10억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면 ROE 는 어떻게 될까요?
당기순이익은 10억으로 동일하지만 내년의 자기자본은 올해의 당기순이익 10억이 추가되어 110억이 됩니다.
그래서 ROE 는 10억 / 110억 9.1% 로 떨어지게 됩니다.
내년도 당기순이익이 올해 ROE 와 동일하게 10% 증가한 11억이 된다면 ROE 는 어떻게 될까요?
내년도 당기순이익 11억이되고(올해 당기순이익 10억에서 10% 성장한 11억) 내년도 자기자본은 110억(올해 자기자본 100억 + 올해 당기순이익 10억) 이 됩니다.
그 결과 내년 ROE 는 10%(11억/110억)로 올해와 동일하게 됩니다.
즉, 매년 당기순이익 성장률이 기존 ROE 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만 ROE 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장기간 높은 ROE 를 달성하고 유지하는 것은 이처럼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ROE 는 당기순이익과 자기자본의 결과입니다.
즉, 당기순이익의 개선이 어렵다면, 자기자본을 건드리면 ROE 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주주로 부터 받은 자본을 해당기업이 효율적이로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ROE 가 낮은 상황이라면) 차라리 배당 또는 감자를 통해 자기자본을 주주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 주주입장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ROE 는 배당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투자자들이 다른 곳에 투자해서 손쉽게 올릴 수 있는 수익률보다도 ROE 가 낮다면 차라리 적극적인 배당으로 주주에게 자본을 되돌려 주는 것이 주주입장에서는 이익입니다.
그러나, ROE 가 높은 경우에는 주주에게 배당을 주기보다는 계속 사업에 재투자하는 것이 주주입장에서 더 유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4. ROE 지표 활용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높은 ROE 는 부채 레버리지의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사업의 수익률이 부채로 인한 이자율보다 높아서 적극적으로 부채를 끌여들여 수익규모를 늘린다면 ROE 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은 그대로인데 부채로 생긴 새로운 수익이 이자지급액 보다 많으니까요.
즉, ROE 를 높이기 위해 적절히 부채를 활용하는 것은 좋은 것이지만 재무안정성을 심하게 훼손할 만큼 부채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위험한 것입니다.
아울러 ROE 는 당기순이익과 자기자본으로 구성된 결과입니다.
그리고 PER, PBR 과 같은 지표와 달리 주가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ROE 지표가 아무리 좋더라도 주가 자체가 그 이상으로 심하게 높은 경우에는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 및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커머스 사업 분석 (네이버 쇼핑, 스마트스토어, 이커머스) (0) | 2020.08.02 |
---|---|
공포와 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를 활용한 주식투자 (0) | 2020.07.26 |
주식 BPS, PBR 정리. (0) | 2020.05.04 |
주식 배당금, 배당기준일, 배당락 및 세금. (0) | 2020.05.02 |
삼성전자 우선주 매수 이유. (0) | 202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