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및 기업분석

네이버 사업부별 매출 및 네이버웹툰 사업 정보 (네이버 투자)

반응형

네이버웹툰은 라인과 함께 네이버의 글로벌 성장동력중 하나입니다.

대다수 뉴스에서 네이버 웹툰의 장밋빛 미래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실제 네이버웹툰은 네이버의 전체 실적에서 얼마나 기여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네이버 웹툰 사업은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요?

 

1. 네이버의 사업부별 매출 현황 및 네이버웹툰의 기여도.

 

네이버의 2020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6.7% 성장하고, 전분기대비로는 9.8% 성장한 1조 9025억원입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79.7% 증가하고, 전분기대비로는 4.1% 성장한 2306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네이버 사업부별 매출 구성 (2020년 2분기)

 

그런데 이중 네이버웹툰 서비스가 포함된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경우 전체 매출의 4% 수준에 불과한 796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즉 아직까지 네이버웹툰 서비스가 네이버 전체의 매출에 기여하는 바는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성장률을 보면 전년동기대비 58.9% 성장을 기록하여 네이버웹툰의 성장성이 매우 높은 것을 알수 있습니다.

 

매출기여도가 가장 큰 사업부인 비즈니스플랫폼의 경우 2020년 2분기에 전년동기대비 8.6% 성장한 7,772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네이버 전체 매출중 차지하는 비중은 41% 입니다.

코로나로인한 온라인 쇼핑거래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매출액 성장률은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라인을 제외한 네이버 비즈니스 중 두 번째로 매출이 큰 IT 플랫폼의 경우 2020년 2분기 1,802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는데, 전년동기대비 70.2%, 전분기 대비로는 21.6% 성장한 수치입니다.

네이버페이의 외부결제 확대 등이 빠른 성장의 주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다만, 간편결제 사업 자체가 이익률은 높지 않은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네이버 광고부분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4.9%, 전분기대비 21.3% 성장한 1,74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광고주의 광고집행 감소 경향을 감안하였을때 매우 선방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라인 및 기타사업부의 경우에는 매출액 6,908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16.7% 증가하였습니다.

 

다시 요약하면, 네이버의 전체 사업중에서 네이버 웹툰을 중심으로하는 콘텐츠 사업부의 매출액은 아직 크지 않지만, 성장률은 매우 높으며, 특히 매출증가에 따른 이익증가속도가 매우 가팔라지는 콘텐츠 사업의 특성상 향후 사업규모가 커지면서 네이버 전체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네이버 웹툰 사업의 진행 현황.

 

2020년 네이버웹툰의 연간 거래액 추정치는 추정하는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7,500억원에서 8,000억원 수준이 컨센서스 인 것으로 보입니다. (아시다시피 거래액과 매출액은 다른 기준입니다. 거래액의 일부가 수수료 등으로 매출액으로 잡힙니다.)

 

그리고 2020년 1분기 기준 거래액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60% 수준이며, 해외비중은 20% 수준에 달합니다.

특히 2020년 1분기에 북미기준 결제 고객수가 전년동기대비 무려 3배 증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네이버 웹툰의 MAU(Monthly Active Users, 월간 활성 사용자)는 6,500만명 수준까지 성장하였으며, 이중 북미지역 사용자는 1천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네이버는 현재 미국, 한국, 일본에서 거래액 기준 1위 사업자 지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 포화되고 규모도 작은 국내사업을 뛰어넘어 글로벌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네이버는 중요한 사업구조 개편을 실시하였습니다.

2020년 6월에는 네이버웹툰과 라인망가를 합병하였으며, 최근 미국법인을 본사로 하는 지배구조 개편을 단행하였습니다.

 

네이버 웹툰 지배구조 변화 (출처: 키움증권)

 

큰 틀에서 네이버웹툰 사업은 미국법인을 정점으로, 하부에 한국, 일본 및 중국법인을 두는 형태입니다.

 

미국법인의 경우 전체 웹툰사업을 총괄하면서 북미지역 공략을 책임지게되나, 이와 동시에 유럽지역 공략도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미지역 웹툰 오리지널 작품이 프랑스, 스페인과 같은 유럽 지역에서 상위권 컨텐츠로 다수 올라와 있는데, 이와 같이 북미지역 콘텐츠를 활용하여 유럽시장 공략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